(KDDF-201404-02) 선도물질도출: IK 사이토카인을 활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개발
면역, 단백질
감염된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 ; APC) 표면의 주조직적합성 항원 I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I)의 발현을 억제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을 활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RA)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함.
본 사이토카인은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항원제시 세포에서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I의 발현을 억제시키며 antigen-presenting cell와 T cell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T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보임.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병 기전에도 이러한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에 사이토카인으로부터 유래하는 펩타이드로부터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서 개발하고자 함.
1) Target Patient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polyarthritis)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면역 만성 염증 질환 (chronic auto-inflammatory disease)으로 초기에는 관절(joint)의 활액막(membrana sinovial )에 염증이 발생하지만 주위의 연골(cartilage)과 골(bone)이 파괴되어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하며 관절외 증상으로 빈혈(anemia), 공막염(scleratitis), 폐질환(pulmonary diseases), 혈관염(vasculitis), 골다공증(osteoporosis)이 발생하기도 함.
류마티스 관절염은 남자는 1년에 1,000명당 0.2명 여자는 1,000영당 0.4명 꼴로 발생하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유병율은 0.4-1.0%로 전 세계적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임.
2) Unmet Medical Needs
현재 사용 중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약제로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제(nosteroidal antiinflamamtory drug, NSAID), 스테로이드(steroid]), 전통적인 항류마티스 약제(conventional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 DMARD), 생물학적 항류마티스 약제 (biological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bDMARDs)) 등이 있으나, 이들 약제는 낮은 질병 활성도 유지라는 치료 목표를 달성하는데 만족스럽지 못하며 장기간 투여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또한 현재 사용 중인 생물학적 항류마티스 약제 대부분이 항체 치료제로 평균 30% 정도의 RA 환자에게는 반응 하지 않으며 매우 고가이고 폐렴(pneumonia)·결핵(Tuberculosis)·대상포진(herpes zoster)·농양 (suppuration) 등을 합병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음.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치료제의 필요성이 대두됨.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으로부터 유래하는 펩타이드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확보함.
국내 특허 및 PCT 출원 중
Korean patent application No.10-2014-0038809 (2014. 01. April)
PCT application No. PCT/KR2014/003282 (2014. 24. April)
IK 사이토카인을 활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개발은 기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의 문제점인 1) 효능 회피 2) 고가 3) 부작용 등을 개선 할 수 있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의약품이 아닌 새로운 타겟의 생물학적 제제로서 의미를 가짐.
면역 (류마티스관절염)
2014. 07. 15 - 2015. 08. 31
㈜셀인바이오
선도물질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