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DDF세미나 "韓日 바이오 협력, 데이터 '무결성' 핵심"[바이오재팬]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은 9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바이오재팬 2025'에서 우리나라와 일본 제약바이오 업계 리더들을 한자리에 모아 파트너십과 협력 모델을 논의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우선 KDDF는 주요 성과를 소개했다. KDDF는 국내 신약개발의 전 주기를 지원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핵심 기관이다.
KDDF는 2030년까지 블록버스터 신약을 포함해 총 4개의 신약을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첫 번째 사업을 통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유럽의약품청(EMA) 승인 신약개발에 성공했다. 총 162개 신약개발 과제에 3억 달러(약 4300억 원)를 지원하는 성과를 거뒀다.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신약 '레이저티닙'(국내명 렉라자)은 KDDF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KDDF는 2012년부터 해당 후보물질의 비임상 단계를 지원했다. 이는 국산 신약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기념비적인 사례 중 하나다.
KDDF는 6단계 과제 선정, 관리 프로세스 등을 통해 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외부 전문가 그룹이 동료 심사(peer review)를 통해 가장 유망한 과제를 선정하고, 실사단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한다.
발표에 이어 '제약바이오 과거, 현재, 미래'를 주제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회 좌장은 코시 야시로 MSD 아시아태평양 사업개발(BD)·기술거래 총괄이 맡았다. KDDF를 비롯해 에임드바이오, 일본 아스텔라스, 에자이 관계자가 패널로 참여해 기술거래 경험과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에 대해 토론했다.
앞선 기술거래 경험에 대해 각 사의 패널은 '과학에 기반한 장기적인 신뢰 관계'와 '데이터 무결성'을 성공적인 파트너십의 핵심으로 꼽았다. (중략)
이전
다음
2025.10.21